Life/Study

[경제공부] 금리에 대하여

Jason* 2025. 2. 1. 17:13
728x90
반응형

경제공부에 너무 게으른 듯하다.

하나씩 알아가보려고 한다.

먼저 오늘은 금리에 대하여.

728x90

금리공부3

금리의 사전적 의미
빌려준 돈이나 예금 따위에 붙는 이자

 

이자는 돈을 빌려준 대가로 받는 것이다.

돈을 빌릴 때는 이자를 내야 하고,

돈을 예금할 때는 이자를 받게 된다.

 

오늘 알아볼 금리는 바로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을 말한다.

금리가 높을수록 돈을 못 돌려받는 위험이 커진다는 뜻이라고 함.

 

금리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돈의 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받는다.

사람들이 돈을 많이 빌리면 금리가 올라가고, 반대로 돈을 많이 예금하면 금리가 내려감.

 

예를 들어, 경제가 좋고 사람들이 소비를 많이 하면, 기업들도 돈을 빌려서 사업을 확장.

이럴 때 돈의 수요가 증가하니까 금리가 올라가게 됨.

반대로 경제가 안 좋고 사람들이 소비를 줄이면, 돈의 수요가 줄어들고 금리가 내려감.

반응형

금리공부1
사진 : Unsplash의 Alexander Mils

 

여기서 기준금리라는 개념이 등장함.

기준금리는 중앙은행(한국은행)에서 시중의 돈의 양을 조절하려고 설정하는 금리.

말 그대로 한 나라에서 모든 금리의 기준이 됨.

 

한국은행에서는 우리나라 경제 상황에 따라서 기준금리를 조절함.

기준금리의 영향력이 매우 커서 자주 변동시키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경기가 좋을 때(시중에 돈이 많을 때)는

기준금리를 높여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경기가 나쁠 때(시중에 돈이 없을 때)는

기준금리를 낮춰서 소비와 투자를 독려한다.

 

금리공부2
사진 : Unsplash의 Richard

 

다소 헷갈릴 수는 있지만

경제생활을 해본 성인이라면 이해가능하다.

 

금리가 낮으면 경제가 살아난다는 신호로

금리가 높으면 경제가 둔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이면 된다.

 

금리는 경제 전반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수치로

이 변화를 잘 이해한다면 경제흐름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오늘 공부 끝.

728x90
반응형

'Life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공부] 예금 vs 적금 / 우리의 선택은?  (2) 2025.03.19
[경제공부] 환율에 대하여  (5) 2025.02.17